2025년 6월 기준, 서울·부산·인천은 기본요금 4,800원(1.6km), 대구·울산은 4,500원, 광주·대전·제주는 4,300원, 세종은 4,000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별 택시기본요금·심야할증·인상 시기 등을 한눈에 정리하고, 네이버·카카오 앱을 이용해 손쉽게 예상요금을 확인하는 방법과 실전 절약 노하우까지 꼼꼼하게 소개합니다. 출장이나 귀가길 요금 부담이 걱정될 때 꼭 참고해보세요.
1. 전국 택시 요금 총정리

2025년 들어 각 지역별 택시 요금이 연이어 인상되고 있습니다.
- 수도권(서울·부산·인천): 기본요금 4,800원(1.6km) 체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 대구·울산: 2025년 각각 2월(대구), 3월(울산)에 4,5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 광주·대전: 각각 4,300원 기본요금을 유지 중입니다.
- 세종: 지난해 4,000원으로 인상된 후, 현재도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 제주: 2024년 7월부터 4,300원 적용 중입니다.
심야 할증은 도시별로 세분화되어,
- 서울: 22~23시 20%, 23~02시 40%, 02~04시 20%
- 대구: 23~24시·02~04시 20%, 02시에 30%
- 울산·광주·대전·부산: 일반적으로 20% 단일 심야할증 운영(요금 변동 공지 필요)
대형·모범택시:
- 서울 기준 주간 3km 7,000원, 심야 3km 8,400원
- 대구에서는 5,500원이 6,000원으로 상향
경기도는 택시요금 인상 논의 중이니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2. 택시비 절약 꿀팁

출처 : 연합뉴스
1. 심야 40% 구간 피하기
서울 기준 23~02시 할증이 높으니, 22시 이전 탑승 또는 02시 이후로 이동하면 20% 할증으로 절약 가능합니다.
2. 대중교통+택시 환승
지하철 막차 이전 최대한 가까운 곳까지 이동 후 택시를 이용하면 기본요금 구간에서 목적지 도착 확률이 커집니다.
3. 네이버·카카오 앱으로 예상요금 비교
출발·도착지를 입력하면 예상 택시비가 바로 표시됩니다. 심야·시계외 할증도 자동 반영되어 정확한 금액 예측이 가능합니다.
4. 할인카드·모바일페이 프로모션
일부 신용카드는 10% 이상 택시 캐시백을 제공합니다. 교통비 통합할인, 페이 결제 프로모션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3. 이건 참고하세요

- 앱 미터기 전환: 대구를 시작으로 앱 기반 전기식 미터기 도입이 확대 중입니다. 클라우드 운행 기록 덕분에 요금 분쟁 시 증빙이 쉬워집니다.
- 시계외 할증: 서울 시계외 할증 20%가 추가되고, 심야와 중복하면 최대 60%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광역 이송 시엔 꼭 확인하세요.
- 요금 인상 캘린더: 울산(3월 10일), 대구(2월 22일) 등 각 지자체 인상 날짜가 서로 다릅니다. 출장 등 일정에 맞춰 방문 도시 요금을 체크하세요.
4. 마무리

2025년 기준 지역·시간별로 택시 요금이 최대 1.5배 차이 납니다. 기본요금, 심야 구조만 알아도 예상 비용 오차가 줄어듭니다.
최신 요금표, 앱 계산기, 실전 절약 팁을 모두 활용해 늦은 밤 이동 걱정 줄이세요. 다음 업데이트에서 경기도 인상, 전국 앱 미터기 현황 등 추가 정보도 안내할 예정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양도소득세 완전 정리 – 계산법, 비과세 요건, 신고 기간 안내 (0) | 2025.08.22 |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총정리 – 지원 대상, 금액, 신청서류, 연장 기준까지 (0) | 2025.08.21 |
MBTI 검사 가이드 – 성격유형·추천 무료사이트 한눈에 정리 (0) | 2025.08.21 |
예비군 동원·동미참훈련 연기 신청 총정리 – 사유, 서류, 절차, 과태료까지 (0) | 2025.08.20 |
2025년 공기업 연봉 정보 총정리 – 신입 연봉부터 평균 연봉, 주요 특징까지 (0) | 2025.08.19 |
2025년 국내 고배당주 TOP10과 안정적인 분기배당주 종목 정리 – 실제 배당수익률 중심으로 살펴보기 (0) | 2025.08.19 |
실업급여 조기취업수당 완전 정리 – 2025년 조건, 금액, 신청 방법까지 꼼꼼 안내 (0) | 2025.08.18 |
2025년 다자녀 가정을 위한 혜택 완전 정리 – 2자녀부터 누리는 전방위 지원 정책 (0)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