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 점심 한 끼에도 허리가 휘는 요즘. 서울시에서 기분 좋은 소식 하나를 들려주었습니다.
서울시는 높은 생활비를 반영해 2026년 생활임금을 시급 12,121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이는 법정 최저임금보다 1,801원 높은 금액으로, 월급 환산 시 약 253만 3,289원(209시간 기준)입니다. 서울시 생활임금의 취지, 적용대상, 정책적 의의 등 핵심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생활임금이란 무엇일까

생활임금은 단순 최저임금 이상, 실제 생활에 필요한 주거·교통·교육 등 필수경비를 고려해 산정한 임금입니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매년 생활임금 제도를 실시하며 물가·가계 부담·시 재정여건 등을 반영해 금액을 확정합니다.
2026년 서울시 생활임금, 얼마나 오르나

2026년 생활임금은 2025년 11,779원에서 2.9%(342원) 올라 12,121원으로 결정됐습니다.
법정 최저임금 10,320원과 비교해 1,801원 높으며, 월급으로 환산 시 약 253만 3,289원입니다.
최저임금 대비 월 37만 원 이상을 추가 수령하는 셈입니다.
적용대상


생활임금은 모든 노동자가 아닌 다음 대상자에게 적용됩니다.
- 서울시 및 투자출연기관 소속 직접고용 노동자
- 투자기관 자회사(서울시가 예산 100% 지원) 소속 근로자
- 민간위탁기관 중 시비 100% 지원 노동자
- 서울시 매력일자리 참여자 등
2026년 기준 약 1만 4천 명이 수혜를 받을 전망입니다.
최저임금보다 높은 이유

서울은 전국에서 생활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전국 기준 최저임금만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 주거·교통·교육 등 현실적 비용을 반영하여, 생존이 아닌 ‘삶의 질’을 보장하려는 목적에서 생활임금이 도입된 것입니다.
생활임금의 정책적 의의와 앞으로의 방향

생활임금 매년 인상은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서울시 정책 철학을 보여줍니다.
다만, 민간 확산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형평성·부담 전가 논란이 있습니다.
공공임금 인상과 함께, 민간 부담 최소화·예산 투명성 확보 등의 보완책이 병행돼야 실질 정책효과가 높아질 것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신혼부부 결혼지원금 – 100만원 현금 지급 시범사업 안내 (0) | 2025.09.20 |
---|---|
2차 민생회복지원금 소득 상위 10% 제외 기준과 지급 구조 안내 (0) | 2025.09.20 |
백금 시장 완전 분석 – “18K 백금” 오해부터 가격 상승 이유와 투자 전망까지 (0) | 2025.09.20 |
양육비 선지급제 – 신청 조건, 절차, 지원 내용 완전 해설 (0) | 2025.09.19 |
2025년 2자녀부터 받는 다자녀 가정 혜택 총정리 (0) | 2025.09.19 |
2025 2차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과 지급 기준 완전 정리 (0) | 2025.09.19 |
2025년 2차 민생회복 지원금(소비쿠폰) 신청 안내 (0) | 2025.09.18 |
주택연금 가입조건·월수령액·장단점 – 1억 주택도 연금 지급받는다 (0)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