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갑근세 완벽 가이드: 계산법, 공제 항목, 절세 노하우 총정리

728x90

월급명세서를 받을 때 예상보다 적은 금액이 입금돼 낭패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근로자가 가장 체감하는 공제 항목이 ‘갑근세(갑종 근로소득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근세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세금을 합법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절세 전략까지 2025년 최신 기준을 중심으로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728x90

갑근세란? 월급에서 미리 공제되는 근로소득세

갑근세는 ‘갑종 근로소득세’의 줄임말입니다.

갑근세는 ‘갑종 근로소득세’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근로자가 급여를 받을 때 회사가 급여에서 소득세를 미리 떼어 국세청에 대신 납부하는 ‘원천징수’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근로자는 실질적으로 받는 급여액이 줄어들고, 연말정산 시 환급 가능액을 정산 받습니다. 갑근세는 매달 국세로 선공제되는 것으로, 월급명세서에서 빠지게 되는 대표적 세금 항목입니다.

 

728x90

갑근세 계산 과정 및 주요 공제 항목

  • 총 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와 인적공제 등 각종 공제를 빼고 과세표준을 산정합니다.
    예) 연봉 3,000만 원인 경우 근로소득공제가 약 780만 원 적용되어 과세표준은 약 2,220만 원이 됩니다.

2. 소득세율 적용 (2025년 기준)

  • 과세표준 구간별로 다른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1,400만 원 이하: 6%
    • 1,400만 원 초과~5,000만 원 이하: 84만 원 + 초과금액의 15%
    • 5,000만 원 초과~8,800만 원 이하: 624만 원 + 초과금액의 24% … 등.

3. 세액공제 반영

  • 근로소득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등으로 실제 납세액을 줄입니다.
  • 자녀 2명일 경우 최대 80만 원까지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4. 지방소득세 부과

  • 산출된 소득세의 10%가 지방소득세로 추가되어 최종 원천징수 세액이 결정됩니다.

    728x90

 

일용직 갑근세 계산법과 특징

 

정규직과는 달리 일용직은 급여일당이 15만 원 이하일 경우 세금이 면제됩니다. 15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소득세가 부과되는 점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하루 일급이 18만 원이라면 3만 원이 과세 대상이며, 이 금액을 기준으로 약 6%의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10%가 부과됩니다.

  • 일용직 급여 18만 원 → 과세 대상 3만 원
  • 소득세(6%): 1,800원
  • 지방소득세(10%): 180원
  • 총 원천징수액: 1,980원

이처럼 일용직 갑근세는 초과금액에만 과세되므로, 전체 급여에 과세되는 정규직과 다릅니다.

 
 

 

 

728x90

갑근세 절세 전략: 합법적으로 세금 줄이기

  • 세액공제 활용
    신용카드 사용,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보험료 등 다양한 공제항목을 연말정산 시 최대한 반영하여 세금을 줄입니다.
  • 자녀세액공제
    자녀 1명당 연 최대 15만 원, 2명 이상 시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 가족이 많을수록 유리합니다.
  • 연금저축/IRP 가입
    연금저축 및 개인형 IRP는 연간 약 700만~900만 원까지 세액 공제가 가능해 절세 효과가 큽니다.
  • 비과세 수당 활용
    식대, 야간근로수당, 자가 운전보조금 등 비과세 수당을 적극 활용해 근로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의 갑근세 시뮬레이터 및 급여계산기를 활용해 나만의 절세 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갑근세는 모든 근로자가 반드시 알아야할 기본 세금입니다. 월급명세서에서 갑근세 항목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본인 상황에 맞춰 세액공제 및 절세 수단을 적극 활용한다면 실질 소득을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5년 변화된 세법과 공제 항목까지 최신 정보를 꼼꼼히 챙기셔서 똑똑한 연말정산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