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이라는 용어는 최근 다양한 정부 복지 정책, 청약, 지원 제도의 핵심 기준으로 등장하며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혹시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2025년을 기준으로 하는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왜 꼭 알아야 하는지, 그리고 내 소득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방법까지 꼼꼼히 짚어보겠습니다.
1. 기준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요?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전체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입니다. 쉽게 이해하려면 100명의 국민이 줄을 서 있을 때, 정확히 50번째 사람이 가진 소득이 바로 중위소득이라는 뜻이죠.
이는 ‘평균소득’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평균소득은 몇몇 고소득자나 저소득자의 영향으로 크게 왜곡될 수 있지만, 중위소득은 중간값이기 때문에 시장의 실제 경제 상황을 더 현실적으로 반영합니다.
정부는 이 기준중위소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복지 정책, 주거 지원 사업, 청년 지원 등 여러 제도의 자격 요건 및 지원 규모를 결정합니다. 때문에 복지 혜택 대상인지 판단하려면 중위소득 개념을 정확히 아는 것이 필수입니다.

연도별 기준중위소득표를 보면 가족이 많을수록 상승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 계산 방식과 2025년 기준 예시

중위소득은 ‘세전 소득’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이는 소득세나 4대 보험료 공제 전 금액이라는 뜻이에요. 기준중위소득에 포함되는 소득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로소득: 근로소득 및 급여
- 사업소득: 개인 사업소득
- 재산소득: 이자, 배당 등
- 이전소득: 기초연금, 아동수당, 실업급여 등
- 사적이전소득: 가족 간 송금 등
예를 들어, 4인 가구 기준 100% 중위소득이 6,097,773원이라면, 월 세전 가구 총소득이 이보다 높으면 기준을 초과한다고 보는 셈입니다.
아래는 2025년 일부 가구 규모별 중위소득 구간을 발췌한 표입니다.
구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50%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100%
|
4,784,026
|
7,865,316
|
10,050,706
|
12,195,546
|
14,216,384
|
150%
|
7,176,039
|
11,797,974
|
15,076,059
|
18,293,319
|
21,324,576
|
180%
|
8,611,246
|
14,157,568
|
18,091,270
|
21,951,983
|
25,589,491
|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는 위와 같습니다.
전체 수치를 알고 싶다면, 보건복지부 또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됩니다.\
3. 내 소득은 중위소득의 몇 %? 어떻게 확인하나요?

내 가구의 소득이 기준중위소득에서 몇 % 구간에 속하는지는 다음 방법으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납부확인서 발급: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민원여기요)에서 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 가능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정식 발급 가능
- 원천징수영수증 확인: 회사 연말정산 시 제공받는 서류로 연간 총급여를 알 수 있음
이 중 연소득을 확인한 후 12개월로 나누고, 가구원의 수와 2025년 중위소득표를 대조하면 현재 내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기준중위소득, 복지 정책에서 왜 중요할까?

중위소득이 중요한 이유는 정부 복지 및 지원 자격을 결정할 때 기준선으로 널리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주요 복지사업들이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를 자격 요건으로 삼고 있습니다.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가구 대상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 지원
-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이하 대상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대상
- 농식품 바우처: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에 월 최대 10만 원 지급
이외에도 청년도약계좌, 아동수당, 출산·양육지원금, 신혼부부 지원 등도 중위소득 150% 또는 180% 이하를 기준으로 자격과 한도를 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복지제도 참여나 지원금 신청을 고려 중이라면, 내 소득이 중위소득 표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5. 마무리 및 참고사항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그 활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매년 중위소득 수치는 조금씩 변동되므로, 작년에는 해당되지 않았던 분도 올해는 달라졌을 수 있습니다. 복지혜택을 놓치지 않으려면 정기적으로 중위소득을 확인하고, 자격 기준과 지원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정부 및 관련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중위소득 전년도 및 최신 통계 표를 항상 확인하시고, 내 가구에 맞는 지원을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생활 안정과 합리적인 정책 활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란봉투법 2025년 현황과 핵심 쟁점 - 노동과 기업, 정치권이 주목하는 이유 (0) | 2025.08.16 |
---|---|
2025년 예금자보호 한도 1억 원 상향 총정리 – 시행일, 금융권별 적용 범위, 주의사항까지 (0) | 2025.08.14 |
주택연금 완전 정리 – 가입 조건부터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과 장단점 (0) | 2025.08.14 |
2025년 장교 월급 완전 정리 – 계급별 봉급과 수당, 사관생도 월급까지 (0) | 2025.08.14 |
2025년 소방안전관리자 실무교육 완전 정리 – 교육 과정부터 비용, 신청 방법, 행정처분까지 (0) | 2025.08.14 |
2025년 시내버스 기사 vs 고속버스 기사 – 연봉, 실수령액, 자격조건 완전 비교 (0) | 2025.08.13 |
2025년 국내외 월배당주와 고배당주 최신 정보 – 투자자 맞춤 추천과 주의사항 (0) | 2025.08.13 |
2025년 8월 청년도약계좌 – 자격, 신청법, 혜택, 해지조건까지 꼼꼼 리뷰 (0)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