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총정리 – 뜻, 60%·100%·120%·150%·250% 계산법, 복지 적용

728x90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위소득의 뜻부터 60%, 100%, 120%, 150%, 250% 계산 예시, 그리고 복지 혜택 기준과 지원 프로그램 적용까지 한눈에 설명합니다.
자신의 가구가 어떤 제도에 해당하는지 숙지하고, 지원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728x90

1. 기준 중위소득 뜻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값이지만, 실제론 경제 상황·물가 변동 등을 고려해 정부가 매년 조정하여 발표하는 '정책상 중간값'입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각종 복지사업 및 수당 신청 자격 기준점으로 쓰입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매년 8월 고시, 복지 확대추세와 함께 최근 지속적 인상 중입니다.

728x90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60%

  • 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6,097,773원
  • 60% 계산: 6,097,773원 × 0.6 = 3,658,664원
  • 월 소득이 이에 미달하면 긴급복지, 청년 월세, 저소득 주거 지원 등 다양한 복지 대상 포함.

728x90

3. 100%

 
  •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6,097,773원
  • 복지 기준의 기준점. 생계급여(32%, 약 195만 원), 의료급여(40%, 약 243만 원), 주거급여(48%, 약 292만 원), 교육급여(50%, 약 304만 원) 등 상세 지원 구간의 산정 기준입니다.

728x90

4. 120%

  • 120% 계산: 6,097,773원 × 1.2 = 7,317,328원
  • 청년금융지원, 신혼부부 주거/의료 등 일부 정책에서 가구소득 120% 이하를 상한선으로 적용.

728x90

5. 150%

  • 150% 계산: 6,097,773원 × 1.5 = 9,146,660원
  • 긴급복지, 고용안정, 주거복지, 신혼부부 대출 등 다양한 프로그램 상한선으로 적용되며, 보호대상과 금융지원에서 기준이 됨.

728x90

6. 250%

  • 250% 계산: 6,097,773원 × 2.5 = 15,244,433원
  • 청년도약계좌 등 정부 저축·적금 프로그램 기준. 일부 세액공제·이자 감면 프로그램도 해당.

728x90

7. 마무리

지금까지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 2025년 60~250% 단계별 산출 방법, 각종 복지/지원금 적용 기준을 모두 살펴봤습니다.
2025년 인상분을 반영하면 복지 대상자가 넓어지고, 금액도 커졌으니 내 가구 현황을 꼼꼼히 파악해 지원 조건에 맞는 복지정책을 적극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

728x90

 

728x90